맨위로가기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은 마카오를 대표하는 축구 팀으로, 2006년 AFC 챌린지컵에 처음 참가했다.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스리랑카와의 경기 후 기권하여 몰수패를 당했고, COVID-19 팬데믹 이후 2023년 국제 경기에 복귀했다. 2024년 FIFA 규정 개정으로 비중국인 선수들의 출전 자격이 상실되었으며, 아디다스와 유니폼 계약을 체결했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적이 없으며, AFC 아시안컵에서도 예선 통과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카오의 축구 - 마카오 축구 협회
    마카오 축구 협회는 장립관 회장을 중심으로 마카오의 축구를 관리하며, 홍콩-마카오 인터포트 토너먼트 개최,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 운영, 국내 리그 및 컵 대회 운영을 하는 FIFA와 AFC의 회원국이다.
  • 마카오의 축구 - 마카오 풋살 국가대표팀
    마카오 풋살 국가대표팀은 AFC 풋살 아시안컵 4회 진출 및 첫 승, EAFF 풋살 챔피언십 3회 참가, 2005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8강 진출 등의 기록을 가진 마카오 대표 풋살팀이지만 FIFA 풋살 월드컵에는 아직 진출하지 못했다.
  • 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 AFC에 관한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AFC에 관한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이름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
별칭' (로터스 팀)'
' (그린스)'
협회마카오 축구 협회
하위 연맹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동아시아)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아시아)
감독쿽 카록
주장찬 만
최다 출장 선수청 청 이옹 (58)
최다 득점 선수찬 킨셍 (17)
홈 경기장에스타디오 캄포 데스포르티보
FIFA 코드MAC
FIFA 랭킹''
FIFA 최고 랭킹156위
FIFA 최고 랭킹 날짜1997년 9월
FIFA 최저 랭킹204위
FIFA 최저 랭킹 날짜2014년 7월
Elo 랭킹''
Elo 최고 랭킹182위
Elo 최고 랭킹 날짜2000년 2월 13일
Elo 최저 랭킹229위
Elo 최저 랭킹 날짜2015년 3월
첫 경기' 4–2 (마카오, 1948년 3월 29일)'
최대 점수차 승리' 6–1 (괌 요나, 2009년 3월 11일)'
최대 점수차 패배' 0–10 (오만 무스카트, 1997년 3월 25일)'
' 10–0 (일본 도쿄, 1997년 6월 22일)'
유니폼
홈 유니폼상의: 01A149
하의: 01A149
양말: 01A149
원정 유니폼상의: FFFFFF
하의: FFFFFF
양말: FFFFFF
중국어 정보
중국어 (정체)澳門足球代表隊
중국어 (광둥어)Ou3 mun2 zuk1 kau4 doi6 biu2 deoi2
중국어 (표준 중국어)ōumǔːn.tsʊ́k̚kʰɐ̏u.tɔ̀ːipǐːutɵ̌y
기타 언어 정보
포르투갈어Selecção Macaense de Futebol
일본어''
한국어''
지역 대회
지역 대회 이름AFC 솔리대리티컵
지역 대회 출전 횟수1회
첫 지역 대회 출전2016년
지역 대회 최고 성적준우승 (2016년)
두 번째 지역 대회 이름AFC 챌린지컵
두 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1회
두 번째 지역 대회 첫 출전2006년
두 번째 지역 대회 최고 성적조별 리그 (2006년)

2. 역사

마카오는 2006년 AFC 챌린지컵에 참가했으나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모두 패했다.

이후 말레이시아 쿠칭에서 열린 2016년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에 참가하여 라오스, 몽골, 스리랑카와 같은 조에 속했다. 마카오는 조별 리그에서 몽골을 2-1(주장 니키 토라오(Niki Torrão) 2골), 라오스를 4-1로 이기고, 스리랑카와 1-1로 비기며 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브루나이를 상대로 레옹 카항(Leong Ka Hang)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 연장전과 승부차기 끝에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네팔에 0-1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레옹 카항은 대회 MVP, 니키 토라오는 4골로 공동 득점왕에 올랐다.

COVID-19 팬데믹으로 4년간 경기를 치르지 못하다가, 2023년 3월 26일 싱가포르와의 경기(0-1 패)로 국제 경기에 복귀했다. 2023년 6월 19일에는 중국 다롄에서 미얀마와 친선 경기를 가졌다. 이후 마카오는 주로 캄보디아, 브루나이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경기를 치렀다.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브루나이를 상대로 한 마카오의 선발 라인업.

2. 1. 초기 역사 (1930년대 ~ 1970년대)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은 초기에 FIFA 회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FIFA 월드컵에 참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주로 지역 대회나 다른 비회원국과의 경기에 참가했다.

2. 2. FIFA 가입과 월드컵 도전 (1980년대 ~ 현재)

마카오는 1982년 FIFA 월드컵과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탈락했다. 이후에도 꾸준히 월드컵 예선에 도전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스리랑카와의 경기에서 1차전은 1-0으로 승리했으나, 2019년 스리랑카 부활절 폭탄 테러 이후 안전상의 이유로 2차전에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아 스리랑카가 3-0 승리를 거두었다.[1]

2024년 8월, FIFA 의회가 2020년 9월 18일에 채택한 규정 개정에 따라 마카오 축구 협회 소속 비중국인 선수 전원이 국가대표팀 출전 자격을 상실했다. 영향을 받은 선수는 비토르 알메이다(Vítor Almeida), 이우리 카펠로, 주장 니콜라스 토라오(Nicholas Torrão), 필리페 두아르테(Filipe Duarte)를 포함하여 합류를 앞둔 선수까지 5명이다.[1]

2024년 9월, 마카오는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아디다스(Adidas)와 계약을 맺어 나이키와 10년간의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이로써 마카오는 2004년 이후 다시 아디다스 유니폼을 입고 브루나이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2. 3. AFC 아시안컵 도전과 좌절 (1980년대 ~ 현재)

마카오는 1980년 1980년 아시안컵 예선에 처음 참가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92년 1992년 아시안컵 예선에서도 대한민국과 같은 조에 속했지만, 본선 무대를 밟지 못했다. 이후에도 꾸준히 아시안컵 예선에 도전했지만, 아직까지 본선 진출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대회결과
1956년 ~ 1976년불참
1980년예선 탈락
1984년 ~ 1988년불참
1992년 ~ 2004년예선 탈락
2007년불참
2011년 ~ 2027년예선 탈락



2024년 9월, 마카오는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아디다스(Adidas)와 계약을 맺어 나이키와 10년간의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이로써 마카오는 2004년 이후 다시 아디다스 유니폼을 입고 브루나이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1]

2. 4. AFC 챌린지컵과 솔리대리티컵 (2006년 ~ 2016년)

2006년 AFC 챌린지컵에서 마카오는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을 상대로 1무 2패를 기록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고, 최종 순위는 16팀 중 15위를 기록했다.[1]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탈락 후 참가한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에서 마카오는 네팔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AFC 주관 대회 및 국제 대회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팀 득점 랭킹은 라오스 (11골)에 이어 2위(8골)를 기록했다.[1]

2016년 대회에서 마카오는 라오스, 몽골, 스리랑카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에서 마카오는 몽골을 2-1 (주장 니키 토라오(Niki Torrão) 2골), 라오스를 4-1로 이기고, 스리랑카와 1-1로 비기며 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브루나이를 상대로 레옹 카항(Leong Ka Hang)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 연장전과 승부차기 끝에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네팔에 0-1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레옹 카항은 대회 MVP, 니키 토라오는 4골로 공동 득점왕에 올랐다.[1]

AFC 솔리대리티컵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
2016준우승2위522185
2020취소
총계준우승1/1522185


  • 2006년 - 조별리그 탈락
  • 2008년 - 예선 탈락
  • 2010년 - 예선 탈락
  • 2012년 - 예선 탈락
  • 2014년 - 예선 탈락
  • 2016년 - 준우승

2. 5. 최근 동향 (2017년 ~ 현재)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스리랑카와의 경기에서 1차전은 1-0으로 승리했으나, 2019년 스리랑카 부활절 폭탄 테러 이후 안전상의 이유로 2차전에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아 스리랑카가 3-0 승리를 거두었다.[1] COVID-19 팬데믹으로 4년간의 휴식기를 가진 후, 2023년 3월 26일, 마카오는 자국 경기장인 이스타디오 캄포 데스포르티보(Estádio Campo Desportivo)에서 싱가포르와의 경기에서 0-1로 패하며 국제 경기에 복귀했다. 2023년 6월 19일에는 중국 다롄으로 이동하여 미얀마와 친선 경기를 치렀다. 국제 경기 복귀 후 마카오는 주로 캄보디아브루나이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경기를 했다.[1]

2024년 8월, FIFA 의회가 2020년 9월 18일에 채택한 규정 개정에 따라 마카오 축구 협회 소속 비중국인 선수 전원이 국가대표팀 출전 자격을 상실했다. 영향을 받은 선수는 비토르 알메이다(Vítor Almeida), 이우리 카펠로, 주장 니콜라스 토라오(Nicholas Torrão), 필리페 두아르테(Filipe Duarte)를 포함하여 합류를 앞둔 선수까지 5명이다.[1]

2024년 9월, 마카오는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아디다스(Adidas)와 계약을 맺어 나이키와 10년간의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이로써 마카오는 2004년 이후 다시 아디다스 유니폼을 입고 브루나이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1]

최근 마카오 대표팀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회날짜상대결과득점 선수비고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2024년 9월 6일브루나이0-3 패하사날 볼키아 국립경기장, 반다르세리베가완 (브루나이)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2024년 9월 10일브루나이0-1 패에스타디오 캄푸 데스포르티부, 타이파 (마카오)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예선2024년 12월 14일1-2 패레이칭람카이탁 유스 스포츠 그라운드, 구룡 (홍콩)


3. 국제 대회 경력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지만, 아직 FIFA 월드컵이나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은 없다.

2006년 AFC 챌린지컵에 처음 참가하여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을 상대로 1무 2패를 기록,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최종 순위 16개국 중 15위)[1]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에서는 네팔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AFC 주관 대회 및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역대 최고 성적을 냈다.[1] (팀 득점 랭킹 2위, 8골)

2003년 대회 예선에서는 2승 2패로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이후 18년 만에 국제 대회 최다 승점 타이 기록을 세웠고,[1] 2010년 대회 예선에서는 9골을 넣어 국제 대회 예선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1]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차 예선에서는 스리랑카에 1차전 1-0 승리 후, 2019년 스리랑카 부활절 폭탄 테러로 인한 안전 문제로 2차전 불참, 스리랑카의 3-0 승리로 처리되었다.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브루나이와 경기를 치렀다.[1]

3. 1. FIFA 월드컵

년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예선 경기 수예선 승예선 무예선 패예선 득점예선 실점
1930년 ~ 1978년FIFA 회원국이 아님FIFA 회원국이 아님
1982년예선 탈락300309
1986년6204415
1990년참가하지 않음참가하지 않음
1994년예선 탈락6006146
1998년6114328
2002년6006231
2006년200216
2010년2002213
2014년2002113
2018년201114
2022년210113
2026년201115
2030년미정
2034년
합계-0회------39433217173


3. 2.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중국어 본선 진출 기록은 없지만, 총 10번의 예선에 참가했다. 1984년 대회와 1988년 대회는 불참했고, 2007년 대회에는 AFC 챌린지컵 배정으로 불참했다.

AFC 아시안컵width=1% rowspan=12 |AFC 아시안컵 예선
년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경기 수득점실점
1956불참불참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예선 탈락310247
1984불참불참
1988
1992예선 탈락311144
19963102712
2000310214
2004예선 탈락200205
2007불참불참
2011예선 탈락AFC 챌린지컵 배정
2015
20198017520
2023210113
2027401319
총계0/192853202364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마카오는 브루나이와 경기를 치렀다.[1]

3. 3. AFC 챌린지컵

2006년 AFC 챌린지컵을 통해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은 D조에서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을 상대로 1무 2패를 기록, 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대회 최종 순위는 16팀 중 15위였다.[1]

AFC 챌린지컵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
2006조별 리그15위301228
2008예선 참가하지 않음
2010
2012
2014
합계조별 리그1/5301228



예선 기록
경기 수득점실점
200236
5104412
210145
300306
122091129


3. 4. AFC 솔리대리티컵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탈락팀 자격으로 참가한 2016년 초대 대회이자 마지막 대회에서 네팔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AFC 주관 대회는 물론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역대 최고 성적을 남겼다.[1] 팀 득점 랭킹에서도 11골의 라오스에 이어 2위(8골)에 올랐다.

AFC 솔리대리티컵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2016준우승2위522185
2020취소
총계준우승1/1522185


3. 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東亞足球錦標賽중국어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까지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하지만, 예선에서는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처음으로 출전한 2003년 대회 예선에서는 2승 2패를 기록하며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이후 18년 만에 국제 대회 최다 승점 타이 기록을 수립했다.[1] 2010년 대회 예선에서는 9골을 터뜨리며 모든 국제 대회 예선을 통틀어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갈아치웠다.[1]

년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
2003년예선 통과 실패3위420255
2005년참가하지 않음참가하지 않음
2008년예선 통과 실패4위201117
2010년예선 통과 실패3위311195
2013년예선 통과 실패2위210154
2015년예선 통과 실패2위311144
2017년예선 통과 실패3위311176
2019년예선 통과 실패2위311145
2022년참가하지 않음참가하지 않음
2025년예선 통과 실패2위100112


4. 라이벌 관계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른 국가 대표팀과의 라이벌 관계가 특별히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다만 지리적으로 인접한 홍콩과의 관계는 주목할 만하다.

4. 1. 홍콩

홍콩-마카오 라이벌전은 1937년부터 홍콩 축구 협회와 마카오 축구 협회 간에 이어져 오고 있다.

5. 역대 감독

이름국적재임 기간
주앙 두스 산투스João dos Santos|주앙 두스 산투스pt1996–1998
우에다 에이지上田栄治|우에다 에이지일본어2000–2002
이마이 마사타카今井雅隆|이마이 마사타카일본어2003–2004
카게야마 마사나가影山雅永|카게야마 마사나가일본어2006–2008
렁 수이 윙梁帥栄|렁 수이 윙중국어2008–2015
탐 이아우 산譚又新|탐 이아우 산중국어2015–2017
찬 히우 밍陳曉明|찬 히우 밍중국어2017–2018
이옹 초 이엥2018–2019
라자로 올리베이라Lázaro Oliveira|라자로 올리베이라pt2020–2024
곽가락郭嘉諾|궉가락중국어2024–


6. 선수

2024년 9월 6일과 10일에 브루나이와의 경기를 위해 다음 선수들이 소집되었다.

''2023년 9월 10일 브루나이전 이후 기록''

등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출전 경기 수득점 수소속 클럽
1GK호만파이何文輝|호만파이중국어450鄒北記|차오 박 케이중국어
20GK로 웬 호(Lo Weng Hou)羅詠豪|로 웬 호중국어30青鋒|청 풍중국어
22GK퐁치항馮智恆|퐁치항중국어20青鋒|청 풍중국어
7DF찬만 (주장)陳敏|찬만중국어322澳門賓菲加體育會|벤피카 데 마카오중국어
4DF캄 치 호(Kam Chi Hou)甘智豪|캄 치 호중국어170澳門賓菲加體育會|벤피카 데 마카오중국어
6DF응 와 생(Ng Wa Seng)吳華昇|응 와 생중국어140中西區康樂體育會|중앙 서구중국어
3DF아만시오(Amâncio)Amâncio|아만시오pt80澳門賓菲加體育會|벤피카 데 마카오중국어
2DF입 이엉(Ip Ieong)葉陽|입 이엉중국어30澳門大學|마카오 대학교중국어
2DF마르코스 청(Marcos Cheong)張宏耀|마르코스 청중국어10澳門賓菲加體育會|벤피카 데 마카오중국어
18DF추 카이 왕(Chu Kai Wang)朱啟宏|추 카이 왕중국어10澳門賓菲加體育會|벤피카 데 마카오중국어
5DF레옹 촌 킷(Leong Chon Kit (footballer, born 2005))梁莊傑|레옹 촌 킷중국어10蒙地卡羅|몬테 카를로중국어
8MF응 와 켄(Ng Wa Keng)吳華景|응 와 켄중국어110鄒北記|차오 박 케이중국어
19MF누노 제로니모Nuno Jerónimo|누노 제로니모pt60Imortal Desportivo Clube|이모르탈 데스포르티보 클루베pt
10MF최 디온 카를로스(Choi Dion Carlos)徐崚峰|최 디온 카를로스중국어40鄒北記|차오 박 케이중국어
16MF아오 치 킨(Ao Chi Kin)歐智健|아오 치 킨중국어10青鋒|청 풍중국어
11MF이엉 렉 항(Ieong Lek Hang)楊力衡|이엉 렉 항중국어10澳門賓菲加體育會|벤피카 데 마카오중국어
23MF레이 맨 텍(Lei Man Tek)李文迪|레이 맨 텍중국어10澳門賓菲加體育會|벤피카 데 마카오중국어
9MF시 호 인(Si Hou In)施浩弦|시 호 인중국어10青鋒|청 풍중국어
15MF청 카 촌(Cheong Ka Chon)鄭家俊|청 카 촌중국어00青鋒|청 풍중국어
21FW팡치항彭梓亨|팡치항중국어341鄒北記|차오 박 케이중국어
12FW리켄판李경斌|리켄판중국어130澳門賓菲加體育會|벤피카 데 마카오중국어
13FW호 카 생(Ho Ka Seng)何嘉誠|호 카 생중국어80加義|갈라중국어
14FW레옹 치 생(Leung Chi Seng)梁智星|레옹 치 생중국어80鄒北記|차오 박 케이중국어
17FW레이 청 람(Lei Cheng Lam)李政霖|레이 청 람중국어50鄒北記|차오 박 케이중국어



지난 12개월 동안 마카오 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천건성 (陳健星, 2006-2013)
  • 鄭正揚|정정양중국어 (2006-2018)

6. 1. 최다 출전 선수 및 최다 득점 선수

'''굵은 글씨'''는 현재 마카오 대표팀에서 활동 중인 선수를 나타낸다.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득점기간
1장정영(Cheang Cheng Ieong)5802005–2018
2호문휘(Ho Man Fai)4502011–현재
3콩청호우4302006–2019
4차지만(Che Chi Man)3461996–2013
팽지항(Pang Chi Hang)3412012–현재
6지오프레도 창(Geofredo Cheung)3332001–2011
7찬만(Chan Man)3222011–현재
8뢰가험(Lei Ka Him)3112010–2019
9람가성(Lam Ka Seng)3062014–현재
노백건(Lao Pak Kin)3012005–2017
량가항(Leong Ka Hang)30122010–2021



순위선수출전골/경기기간
1찬킨셍(Chan Kin Seng)17290.592006–2013
2량가항(Leong Ka Hang)12300.42010–2021
3니키 토라오(Niki Torrão)9210.432011–현재
4람가성(Lam Ka Seng)6300.22014–현재
차지만(Che Chi Man)6340.181996–2013
6호만호우5190.262006–2015
7카를로스 레오넬(Carlos Leonel)480.52017–2018
펠레490.441996–1997
9필리페 두아르테3130.232016–2023
충인레옹(Chong In Leong)3240.132001–2011
지오프레도 창(Geofredo Cheung)3330.092001–2011



7. 기타 국제 대회 경력

2006년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에 홈팀 자격으로 출전했으나 2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2012년 필리핀 피스컵에서도 4팀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